수의전염병학 편성 세포내 박테리아 Obligate Intracellular Bacteria


40. The Family Anaplasmataceae

- 편성 세포내 기생 세균 인공 배양 배지에서 증식 X

- 흡충, 진드기, 기타 무척추동물에 의한 매개

 

 

I. Neorickettsia

- 림프조직 중 단핵구, 대식세포의 공포에서 주로 발견

- Giemsa 염색, Macchiavello 염색

- 이분열 시 각각의 공포막을 유지하기 때문에 현미경으로는 세포내 봉입체가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.

 

 

II. Anaplasma

- 봉입체 발생

- Romanosky 염색 (청보라)

- 주로 진드기 매개

 

Anaplasma (Ehrlichia) bovis: 열대, 아열대 지역의 소, 양의 단핵구에 감염 / 빈혈, 체중감소, 드물게 유산과 폐사

Anaplasma caudatum: 적혈구 내 기생 / 빈혈, 황달, 유산

Anaplasma centrale: 적혈구 중심부에 기생 / A.marginale에 대한 면역제로 사용

Anaplasma marginale: 적혈구 주변부 / 소 아나플라즈마증의 주요 원인체 / 참진드기 매개, 피하주사침, 제각기구 등의 사용으로 발생 / 최종 숙주에서의 지속적 감염 / 황달, 발열, 유산 (cf. 혈색소뇨는 발생하지 않음) / 진단: 형광항체 검사 / 치료: tetracycline, 사균백신, whole-cell 백신

Anaplasma phagocytophilum: 특유의 다형태성 차륜 / 과거 E.phagocytophila에 의해 유발된 진드기 매개열은 유럽지역에서 국한되어 발생하는 야생 또는 사육되는 반추수의 질병

 

 

III. Ehrichia

- 숙주의 단핵 백혈구, 다형핵 백혈구와 내피세포의 초기 endosome 유래 막성세포질 공포 내에 기생

- 봉입체 형성

- Lysosome과 융합 X

- 진드기 매개

- 진단: PCR

 

Ehrlichia canis

- 숙주: 개과동물 (특히 저먼셰퍼드), 고양이에게 자연감염도 보고됨.

- 진드기 (R.sanguineus) 매개: transstadial transmission 일어나지만 경난소전파는 X

- 폐 또는 비강 점막의 출혈 발생 비출혈 발생

- 예방: tetracycline

 

Ehrlichia (Cowdria) ruminantium : 반추수의 심수병 (Heartwater diseae)

 


수의세균성 전염병학

파일 다운로드: 

Anaplasmataceae.docx